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Autowired
- application layer
- 티스토리챌린지
- 메모리 구조
- 오블완
- 쿠키
- 알고리즘
- intelij spring config
- Git
- compgen
- 기본키 전략
- DTO
- spring
- 편향된 지수
- JPA
- 프로그래머스
- mysql
- BindingResult
- 런타임 상수
- m:n
- 파이썬
- API
- allocationSize
- JDBC
- 리눅스
- 커밋 되돌리기
- @SubscribeMapping
- 쉘 스크립트
- 컴파일 타임 상수
- 백준
- Today
- Total
목록메모리 구조 (2)
둘셋 개발!

intro. 특정 카테고리의 갯수를 알기 위해, 지역변수로 cnt를 선언하고 List로 담겨진 아이템을 스트림을 사용하여, 특정 카테고리인 아이템의 갯수를 카운팅하려 했다. 하지만 오류를 만났다. 문제의 코드int cnt = 0; List numbers = List.of(1,2,3,4,5,6); // number에 담긴 짝수 갯수를 구한다. numbers.forEach( n -> if (n %2 == 0) cnt++; );이렇게 코드를 작성하면, cnt++라는 부분에 빨간줄이 쳐지면서, 오류가 발생한다. Variable used in lambda expression should be final or effectively final 람다식 표현에서 사용된 변수는 final이거나 effectively fin..

프로세스란? 메모리에 올라와 컴퓨터에서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이다. 오늘날의 컴퓨터 구조는 폰 노이만 구조를 따른다. 폰노이만 구조는 모든 프로그램은 메모리에 올라와야 실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저장장치에 있는 프로그램을 동작하게 하고 싶다면 메모리에 올라와야 하고 메모리에 올렸다면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프로세스)가 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메모리에 어떤 형태로 프로그램이 올라와져 있는 것일까?? 프로세스 메모리 구조 우선 메모리의 구조부터 알아보자. (이미지 출처: yeahg_dev 블로그 https://velog.io/@yeahg_dev/TIL11.-C-%EB%A9%94%EB%AA%A8%EB%A6%AC-%ED%95%A0%EB%8B%B9-%EB%A9%94%EB%AA%A8%EB%A6%AC-%EA..